작업노트, 2025


본 적 없는 것을 본 것처럼 성실히 그려낸 그림들에서 흥미를 느꼈다. 대부분의 종교화나 신화를 그려낸 그림들이 그러했다. 전해 들은 이야기를 마치 경험한 것처럼 그리기 위해서는 허투루 그릴 수 없었을 것이다. 믿게 하기 위해서 있음 직한 환영은 필수적이다. 그렇게 성실히 묘사해 낸 그림들에서 아름다움과 기묘함을 동시에 느낀다.

언젠가 어떤 경험에 의해 내가 믿고 알고 있는 것이 사실은 무의식중에 학습된 것일 수 있음을 자각한 뒤로부터 더욱더 열심히 현실에 의하지 않은, 누구도 공격하지 않고 공격받지도 않는 나만의 상상 혹은 공상 어쩌면 망상의 세계를 창조해 관찰하고 있다. 현실로부터 시작된 감각들이 최대한 그 시작점에서 멀어지려 애쓴다. 그러나 또 너무 멀어져 감당하기 어려워지는 곳에 가지 않았으면 하는 마음으로 완결된 환영의 몰입을 방해한다. 방해하지 않으면 그려진 이미지 속 눈에 보이는 것들이 그들 독자적으로 서사를 만들어버릴 것만 같다. 서사의 요소를 갖춰놓고 서사가 없다고 말하며 그 공백으로 생기는 불안함을 아름다움으로 감추기 위해 고심한다. 최대한 예민하고 섬세하게- 필요하다면- 의미 없는 장식, 아름답다고 여겨지는 것들, 부드럽고 연약한 감각을 모두 동원한다.

형언하기에 너무 모호한 그러나 분명한, 그 섬세한 진동이 너에게 닿기를 바란다.

차분히 완성한 그림을 가만두지 못할 때가 있다. 네모난 화면 속 이미지로만 승부 보기 두려워서 그럴 수도 있고 완전무결한 척하는 허구에 대한 거부감일 수도 있다. 그게 강하게 작동될 때면 그림이 스며든 천을 풀어 헤치거나 구김을 주거나 빳빳한 판넬에서 흘러나온 천을 감추고 싶지가 않아진다. 수채물감은 아무리 여러 번 칠해도 그 얇기가 유지된다. 얇아도 깊이가 생긴 안정감 있는 화면은 그렇게 천의 구김에 따라 같이 구겨지고 흘러내리고 그러다 실오라기와 함께 해체되며 보잘것없는 천의 연약함에 무너진다. 지젝(Slavoj Žižek)의 말에 의하면 환상은 거짓이 아니라 현실을 가능하게 해주는 구조이며, 이데올로기는 환상을 통해 유지된다고 한다. 현실에 의하지 않고 싶어 애썼던 나의 환상은 사실 그 현실에 없어서는 안 될 필수적 요소였다는 것이 내가 매끈한 거짓을 건드리며 느낀 안도감이었을까. 나와 그림은 언제까지고 이렇게 그럴듯한 추측으로 가까워지고 또 멀어진다.



김영현


Note, 2025


I have always been fascinated by paintings that depict things the artist has never actually seen, yet render them with such sincerity that they feel real. Most religious or mythological paintings are like that. To paint a story one has only heard as if it were personally experienced must have required absolute devotion. To make others believe, a plausible illusion is indispensable. In such meticulously rendered works, I feel both beauty and strangeness at once.

Since the day I experienced something that made me realize that what I believe and “know” might actually be something unconsciously learned, I have been devoted to creating and observing my own world of imagination, perhaps fantasy, or even delusion, that isn’t rooted in reality, that neither attacks nor is attacked by anyone. The sensations that begin from reality strive to drift as far as possible from their point of origin. Yet, I also wish they would not go so far that they become unbearable. That wish interrupts my immersion into a complete illusion. Without such interruption, I fear the visible images in my paintings would start forming their own narratives. Within the image, I arrange the elements of a narrative yet claim there is none, and I find beauty in the unease and incompleteness that emerge from that void. I express this emptiness as sensitively and delicately as possible, employing, when necessary, decorative gestures, things considered beautiful, and soft, fragile sensations.

I hope that subtle yet undeniable vibration, too ambiguous to describe yet certain in its presence, reaches you.

There are times when I cannot leave a calmly finished painting alone. Perhaps it is because I fear relying solely on the image within the rectangular frame, or because I feel repelled by the pretense of perfection that the fiction imposes. When that resistance grows strong, I untie or wrinkle the fabric that has absorbed the painting, or I no longer wish to conceal the fabric that spills out from the rigid panel. No matter how many layers are applied, watercolor remains thin. Yet a stable surface of depth, even in its thinness, crumples and drips along with the folds of the cloth, and eventually collapses with its fragile threads into the frailty of the humble fabric. According to Slavoj Žižek, fantasy is not a lie but a structure that makes reality possible, and ideology is sustained through fantasy. My effort to escape reality, my illusion, was, in truth, an indispensable element of that very reality. Perhaps the sense of relief I felt when I disrupted that smooth falsehood came from this realization. My paintings and I grow closer, and then distant again, through such convincing speculations, always, endlessly.



younghyun